
)
신생아 재우기 – 정보 및 유용한 조언
신생아 수면 – 얼마나 많은 문제를 야기할까요? 조산사 마리아 샬린이 아기의 수면에 관해 조언을 해드려요.
이제 막 퇴원해서 신생아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왔어요. 신생아를 맞이한 기쁨은 온데간데없고 혼란스럽기만 하죠. 일상이 사라진 것 같아요. 먹는 시간, 자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도 온통 뒤죽박죽이에요. 하루 24시간 내내요! 신생아의 잠에 관한 지침서가 있을까요?
조산사로 몇 년을 일한 마리아 샬린이 꿀팁을 알려줄 거예요.
“걱정 마세요. 괜찮아질 거예요. 처음에는 어쩔 줄 모르겠고 모든 게 엉망인 기분이 드는 게 당연해요. 처음 몇 주 동안은 아기의 신체 리듬에 맞춰주세요. 하루에 한 번씩은 자연스럽게 아기의 리듬을 따라보세요!”
신생아는 얼마나 많이 자나요?
처음 몇 주 동안 신생아는 깨어 있는 시간보다 자는 시간이 더 많아요. 필요한 수면 시간은 하루 24시간 중에 평균 16시간에서 22시간 정도예요. 아기마다 다르지만 같은 아기라도 그날그날 달라요.
“새내기 부모들은 처음에 수면 습관이 잡혔다고 생각할지 몰라요. 하지만 수면 시간은 자주 바뀌는 일이 다반사예요. 수면 주기도 계속 바뀌죠. 어느 날은 길게 깨어 있고, 길게 자는 것 같다가 또 어느 날은아이가 더 짧게 더 많이 자는 것 같아요”라고 마리아는 설명합니다.
신생아는 수면 주기가 짧아요.
신생아는 보통 하루에 18-20시간을 자요. 아기가 많이 자면 부모가 수월할까요? 그런데 왜 많은 새내기 부모가 초기에 수면 부족을 겪을까요?
“그건 수면의 지속 시간 때문인 것 같아요. 신생아는 잠깐 자고, 잠깐 깨어 있다가 다시 잠깐 자기를 반복하니까요. 처음 몇 주 동안 아기는 밤낮으로 계속 이렇게 잠을 자요. 그러다가 아기도 부모의 생체 리듬에 적응하면서, 낮에는 더 길게 깨어 있고 밤에는 몇 시간 동안 잠을 자게 되죠”라고 마리아는 덧붙입니다.
성인처럼 아기의 수면도 깊거나 가볍거나 여러 다른 사이클로 이루어져 있어요.
“신생아는 항상 잠을 깊게 자는 게 아니에요. 깊게도 잤다가 나른하게 졸린 상태로 있다가 가볍게 자기도 하죠. 그러는 사이에 깨어 있거나 활기가 넘치거나, 초롱초롱했다가 짜증냈다가, 소리지르며 울기도 해요.”
배가 고프거나 배부른 느낌이 신생아의 수면 방식에 영향
처음 몇 주 동안은 신생아의 세계에서는 음식과 잠이 전부예요. 먹는 데에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서 아기는 먹고 나면 피곤해지고 잠이 들어요. 그리고 다시 배가 고파져서 잠이 깰 때가 많아요.
신생아는 자신만의 생체 시계에 따라 자고 필요할 때 잠이 들어요. 보통 4-7주부터 달라지는데 아기는 주변 환경에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해 잠들 때 달래주어야 할 수도 있어요.
자궁에서부터 지켜온 수면 리듬을 따르는 신생아들
아기가 태어날 때는 모든 일이 자연의 순리를 따라 일어나요. 하지만 신생아들이 부모와 다른 생체 리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그다지 달갑지 않죠. 그 이유는 아무도 몰라요.
“신생아들은출생 후 일주일에서 몇 달까지도 자궁 속 수면 패턴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자궁 속 아기들은 대부분 늦은 저녁과 밤에 더 깨어있고 활동적이며 이른 아침에 푹 잡니다“라고 마리아는 말합니다.
많은 부모가 힘들어하는 게 당연합니다.
“부모가 자고 싶은데 아기가 깨어 있으면 당연히 짜증이 나죠. 하지만 아기의 잠 문제라면 조금만 인내심을 가지세요. 아기는 점점 더 밤에 길게 잠을 잘 테니까요. 돌이 된 아기는 신생아의 수면 주기를 넘어섰을 거예요.”